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줄장미 줄매주기 줄장미가 지붕위로 올라 가도록 해주려고 줄을 매는데 집지으면서 박아놓은 아이너트와 아이볼트가 이번에도 큰몫을 했다. 지붕위까지 장미 덩굴이 뻗어 올라갈 모습을 상상하니 절로 입가에 미소짓게 된다. 더보기 우리만의 황토집짓기-2013.05.19 부엌선반 씽크대 상부장을 안해서 조금 복잡한 문제가 있어 선반을 하나 짜서 놓았다. 신발장 만들때처럼 판재를 이용해 각재에 홈을 파서 얹으니 튼튼하고 보기좋다. 각재에 남편이 그라인더로 금을 그어주면 내가 옆에서 끌로 파내고 한나절만에 뚝딱 완성이다. "원목가구가 뭐 별거냐"면서 "이게바로 진짜 원목가구지"라며 남편이 너스레를 떤다. 더보기 애기똥풀 식탁에 노랑꽃이 있으면 좋다는 말을 들은것 같다. 여기 산에는 유난히 애기똥풀이 많다. 윗마당에 풀뽑으러 갔다가 애기똥풀 한아름 꺾어다 식탁에 올려놓았다. 더보기 우리만의 황토집짓기-2013.05.17 마당수돗가, 하수재활용 마당에서 할일이 많은 시골살림인데 이제야 수돗가 정리가 끝났다. 큰오빠가 오셔서 남편이랑 셋이 땅을 파고 바닥에 자갈을 깔고 시멘트를 발라 물구배를 맞추었다. 제법 그럴싸하다. 시멘트가 보기 싫어서 시멘트에 황토를 섞에 위에 덧바르니 흙인지 시멘트바닥인지 잘 모를정도이다. 야채를 씻거나 하는 허드렛물을 그냥 흘러버리기 아까워서 배수로를 하나 더 연결해 밭으로 뺐다. 설거지할때 세제물은 하수도로 내보내고 나머지 물은 밭에있는 통에 받아서 텃밭에 물을 주는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다. 밭에 물을 줄때 빗물을 이용하기도 하지만 매일 버려지는 수돗물이 아까워 재활용 하니 물을 쓰면서도 마음이 편하다. 몇해전에 파놓은 지하수는 옆집 형네 집에서 사용을 하고 있어 우리까지 같이 쓰자니 웬지 폐를 끼치는 느낌이 들어서.. 더보기 생후 4개월 많이 컸지만 아직도 애기 얼굴이 남아있다. 사진좀 찍으려니 너무 좋아 날뛰는 바람에 표정이 웃긴다. 더보기 2013년 봄 채소밭 고추, 토마토, 오이 밭에 말뚝박기 꽈리고추는 벌써 몇개가 달리고, 방울 토마토도 몇개 달렸다. 이제 제법 밭다워지고 있는 중이다. 나머지 공간에는 옥수수, 강낭콩을 심었는데 아직 싹이 나지 않았다. 초파일이라고 옆집형이 등을 달았다. 밤에 불을 켜놓으면 여기가 산사인가 싶은 생각이 든다. 돌나물, 이모가 산에 자생하는 돌나물을 한삽떠다가 보강토밑에 심어놓았더니 쑥쑥 잘 자라고 있다. 대파와 코스모스 미나리. 지난 장마에 산에서 떠내려 왔는지 어디서 미나리 하나가 떠내려와 마당가에 자리잡더니 제법 많이 벌어서 이제 한끼 먹기에 넘칠정도로 잘 자라고 있다. 상추. 씨뿌린 애들은 이제 겨우 싹이 나오고 있고 시댁에 갔다가 몇개 뽑아와서 심었더니 이제 자리를 잡았다. 처음에는 땅이 바뀌어 몸살을 앓더니 지금은.. 더보기 벼농사 준비. 볍씨 모종하기 논에 만들어둔 창고 요즘은 자동으로 하는 기계가 있다고 하시는데 우리집은 아직도 옛날방식으로 하고 있다고 말씀하신다. 사이사이 보이는 파란판이 닫혔다 열렸다 한다. 어머니가 벼를 골고루 펼쳐주면 시동생이 볍씨위에 상토를 덮는다. 시아주버님이 물을 흠뻑주고 비닐로 덮고 또 덮고 마지막에 보온재로 또 덮어 두어야 한다. 더보기 우리만의 황토집짓기- 세간살이 2층 거실에 만든 다실. 남편 회사앞 단골술집이 문을 닫으면서 준 테이블에 구멍을 뚫어 씽크볼과 수전, 배수관을 연결했다. 다실에서 아직 차는 마신적이 없고 매일저녁 술만 마시고 있다. 다기는 진열만 되어있고 술잔만 매일 쓰고 닦고. 1층에 자바라로 가벽을 만들어 필요에 따라 방을 사용하게 해놓았더니 첫번째 손님으로 위암투병중인 이모님이 당분간 거주하기로 했다. 장기 거주를 하려니 방만 있어서 될일이 아니고 옷걸이나 선반도 필요한데 급하게 사러 갈수도 없고 하여 집에있는 의자와 널판지로 선반을 만들어 놨더니 그런데로 운치가 있어 좋다. 큰올케가 몇년을 두고 십자수를 놓은 꽃을 액자로 만들어 보내주었다. 거실 여기저기 두니 보기가 좋다. 시골살이중 나에게 가장 어려운 문제는 여름철 모기와의 전쟁이다. 이종.. 더보기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42 다음